오늘은 24절기의 다섯번째에 드는 절기 청명입니다.

청명(淸明)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죠.

 

동국세시기 청명조의 기록에 의하면

이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치며

임금은 이 불을 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문무백관 그리고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준다.

이를 사화라 한다. 수령들은 한식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세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이라고 한다고 했습니다.

 

농촌에서는 청명 무렵에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작업이 되죠.

청명이 되면 비로소 봄밭갈이를 합니다.

 

청명은 농사력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하나로 날씨와 관련된 속신이 많습니다.

청명이나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그 해 농사가 잘 되고 좋지 않으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점칩니다. 바닷가에서는 청명과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어종이 많아져서 어획량이 증가한다고 하여 날씨가 좋기를 기대합니다. 반면에 이날 바람이 불면 좋지 않다고 생각했죠.

또 파도가 세게 치면 물고기가 흔하고 날씨가 맑아도 물밑에서 파도가 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비해 경남 사천에서는 청명날의 날씨가 좀 어두워야 그 해 농작물에

풍년이 들고 너무 맑으면 농사에 시원치 않은 것으로 생각하기도 했죠.

어떤 지역에서는 청명에 나무를 심는데 특히 내 나무라 하여 아이가 혼인할 때

농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나무를 심었습니다.

이날 성묘를 가기도 하죠.

 

청명은 말 그대로 날씨가 좋은 날이고

날씨가 좋아야 봄에 막 시작하는 농사일이나 고기잡이 같은 생업활동을 하기에도 수월하죠.

곳에 따라서는 손 없는 날이라고 하여 특별히 택일을 하지 않고도

이날 산소를 돌보거나 묘자리 고치기, 집수리 같은 일을 합니다.

이러한 일들은 봄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겨우내 미루어두었던 것들이죠.

 

 

 

청명이 드는 날이 식목일과 겹치듯 이때는 온갖 초목이 새로 자라기 시작하는 봄의 중심입니다.

천지간에 양기가 왕성해지는 때라 청명에는 부지깽이를 꽂아도 싹이 난다는

옛말이 있을 정도죠. 음력 3월 3일인 삼짇날에는 여자들이 화전놀이를 가거나

나물을 캐는 답청을 다녀왔지요.

 

초후에는 오동나무에 꽃이 피기 시작하고

중후에는 들쥐가 자취를 감추고 종달새가 울며

말후에는 하늘에 무지개가 비로소 나타난다

 

Posted by 호영가족 :